비원단상

본문 바로가기

비원단상

'이원성(二元性)'이라는 마음의 병(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기태 댓글 0건 조회 5,166회 작성일 12-12-02 22:10

본문

 
   사람들의 마음 안에는 하나의 병(病)이 있습니다. 마음의 근본 속성이기도 해서 어느 누구도 그것이 병이라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하고 있지만, 그러나 그것으로 인해 수많은 마음의 고통과 괴로움이 초래되고,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의 생명 에너지를 빼앗아 가버리기에 그것은 분명 병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자기 자신과 삶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하고 항상 둘로 나누어 하나는 버리게 하고 다른 하나는 취하게 하는 마음의 병, 그것은 바로 이원성(二元性)입니다. 그렇다면, 이 이원성이란 무엇일까요?
 
   예를 들어, 여기 커다란 칠판이 있다고 합시다. 거기에 세로로 직선을 하나 그어보십시오. 그것은 짧은 것입니까, 긴 것입니까? 또 점을 하나 찍어 보십시오. 그것은 높은 위치에 있는 것입니까, 낮은 위치에 있는 것입니까? 동그라미를 하나 그려 보십시오. 그것은 큰 원입니까, 작은 원입니까? 어느 것이든 하나만 있기에 그것은 긴 것도 아니고 짧은 것도 아니며, 높은 위치에 있는 것도 아니고 낮은 위치에 있는 것도 아니며, 큰 원도 아니고 작은 원도 아닙니다. 그냥 ‘그것’이라고밖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번엔 조금 전에 그린 그 직선 옆에 길이가 같지 않은 다른 직선을 하나 그어 보고, 높이가 같지 않은 다른 점을 찍어 보며, 크기가 같지 않은 다른 원을 하나 그려 보십시오. 그러면 대번에 그냥 ‘그것’이었던 처음의 직선은 길거나 짧아지고, 그냥 ‘위치’만 있던 처음의 점은 높거나 낮아지며, 무어라 표현할 길이 없던 원은 ‘크다’거나 ‘작다’라고 표현할 수 있는 상대성 속으로 들어가 버립니다. 없던 상대성이 갑자기 생겨버린 것이지요.
 
   그러나 비록 그렇게 처음의 ‘그것’ 옆에 다른 직선과 점과 원을 그림으로써 길다-짧다, 높다-낮다, 크다-작다는 상대성이 생겨버렸지만, 원래의 ‘그것’은 여전히 길지도 짧지도, 높지도 낮지도,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임은 분명합니다. 왜냐하면, 처음 하나를 그렸을 때의 ‘그것’의 속성은 여전히 그대로이기 때문입니다.
 
   그와 같이 모든 것은 다만 무어라 표현할 길이 없는 ‘그것’일 뿐인데, 그 있는 그대로를 보지 못하게 하고 언제나 길다-짧다, 높다-낮다, 크다-작다 등의 상대적인 분별과 비교 속에서 ‘그것’을 바라보게 하는 우리 마음의 병, 그것이 바로 이원성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하나 들어 보겠습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말로 유명한 원효 대사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보면 이 사실을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원효는 45세 때 의상과 함께 신라를 떠나 당나라로 불법(佛法)을 구하러 갑니다. 두 사람은 몇날 며칠을 걸어 충청도 어느 산골에 이르렀을 때, 날도 어두워지고 몸도 많이 지쳐 어떻게든 하룻밤 묵고 갈 곳을 찾게 됩니다. 그런데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문득 감실(龕室) 같은 것이 눈에 들어와 두 사람은 거기서 하룻밤을 유숙하게 되는데, 새벽녘에 타는 듯한 갈증을 느낀 원효는 손을 더듬어 어둠 속에서 잡히는 한 바가지의 물을 단숨에 벌컥벌컥 마십니다. 얼마나 시원한지! 비록 잠결이지만, 몇 날 며칠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걸어온 길이었는데 그 모든 피로와 갈증을 단번에 씻어 주니 얼마나 고맙고 감사하기까지 한지! 그렇게 다시 편안한 마음이 되어 잠이 든 원효는 그러나 아침이 되어 날이 훤하게 밝았을 때, 자신이 몸을 누인 곳은 감실이 아니라 사람의 뼈가 굴러다니는 오래된 무덤이며, 마신 물은 해골바가지의 썩은 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 순간 원효는 몸을 가눌 수 없을 만큼 격심한 구토를 하게 되고, 그렇게 데굴데굴 구르며 고통스러워하던 그 어느 한 순간 갑자기, 원효는 완전한 삶의 비약을 가져다주는 깨달음을 얻게 됩니다. “해골에 담긴 물은 어젯밤이나 오늘이나 똑같은데, 어제는 그토록 달디 달던 물이 오늘은 어이하여 이토록 구역질을 나게 하는가? 그렇구나! 어제와 오늘 사이에 달라진 것은 내 마음일 뿐이다. 진리는 결코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 그리곤 그 깨달음의 순간을 이렇게 노래합니다.
 
   心生故種種法生 心滅故龕墳不二
   심생고종종법생 심멸고감분불이
   又三界唯心 萬法唯識
   우삼계유심 만법유식
   心外無法 胡用別求
   심외무법 호용별구
   我不入唐
   아불입당
 
   마음이 일어나니 온갖 법이 일어나고,
   마음이 사라지니 감실과 무덤이 둘이 아니구나!
   또한 삼계가 오직 마음이며 만법이 오직 식(識)이로다.
   마음 바깥에 법이 없으니, 어찌 따로 구하겠는가?
   나는 당나라로 들어가지 않겠노라.
 
   말하자면, 해골에 담긴 물은 어젯밤이나 오늘이나 똑같은 것이었는데, 원효의 마음이 그것을 한번은 ‘깨끗하다’ 하고 다른 한번은 ‘더럽다’고 분별함으로써 스스로 고통을 받았던 것이지요. 즉 ‘깨끗하다’ ‘더럽다’라는 것은 사물에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원효의 마음이 만들어낸 이원적인 분별일 뿐인데, 바로 그런 분별로 인해 극심한 고통과 괴로움이 생겨났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원효는 문득 깨어납니다. 비로소 마음의 오랜 병인 이원성으로부터 벗어나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게 되면서 참 자유를 얻게 된 것이지요.
 
   그런데 이런 이원의 분별은 바깥 대상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을 향해서도 똑같이 행해집니다. 아침에 눈을 떠서 밤에 잠들 때까지 우리가 매 순간 느끼는 온갖 감정, 느낌, 생각들은 칠판에 그린 하나의 직선, 점, 원과 같이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고,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고,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그냥 있는 그대로의 ‘그것’일 뿐이요, 해골에 담긴 물과 같이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은 그냥 있는 그대로의 ‘그것’일 뿐인데, 우리는 그렇게 보지 않고 항상 이원성의 틀 안에서 그것들을 본다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기쁨 슬픔 미움 사랑 분노 자비 불안 평화 개운함 찝찝함 외로움 상쾌함 긴장 경직 당당함 무료함 심심함 즐거움 우울 기분좋음 강박 이완 우유부단 분명함 게으름 성실 무지 지혜 등등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그때 그때 느끼게 되는 자연스러운 감정들이요, 모양과 빛깔만 조금씩 다를 뿐 모두가 ‘나’의 느낌들이며, 더구나 그 하나 하나가 살아 있기 때문에 경험하게 되는 소중한 생명 에너지들인 것을, 우리는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고 그것들을 어김없이 둘로 나눈다는 것입니다.
 
   즉, 기쁨 사랑 자비 평화 당당함 분명함 즐거움 성실 지혜 등은 ‘좋은 것, 바람직한 것, 얻고 싶은 것,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나누고, 슬픔 미움 분노 불안 외로움 긴장 경직 우유부단 강박 우울 등은 ‘나쁜 것, 초라한 것, 수치스러운 것, 극복해야 하는 것’으로 둔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그렇게 둘로 나누어 놓으면 필연적으로 우리 마음은 또 ‘좋은 것’은 끊임없이 취하고 구하고 얻으려 하고, ‘나쁜 것’은 너무나 싫어하며 버리려 하고 못견뎌하고 괴로워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이원성 자체가 우리 마음이 만들어낸 허구인데,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그 이원성이 가리키는 대로 우리 자신을 둘로 나누니, 이를 어찌 해야 한단 말입니까. 그로 인한 고통과 괴로움은 또 어찌 하구요. 버리고 싶은 것들은 얼른 버려지지 않아서 괴롭고, 얻고 싶은 것들은 빨리 얻어지지 않아서 괴로우며, 버리고 취하는 자신의 노력과 수고와 몸부림은 또 언제 끝날지를 모르니 이 또한 너무나 아득하고…….
 
   아닙니다. 나는 그냥 ‘나’일 뿐이요, 내 안의 모든 감정들 또한 그냥 있는 그대로의 ‘그것’일 뿐 좋다-나쁘다, 잘났다-못났다, 됐다-안됐다의 상대성 속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매 순간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절대(絶對)한 존재로서 살아가고 있답니다. 아, 우리는 언제쯤 그러한 우리 자신의 실상을 볼 수 있게 될까요.
 
   다행히 이러한 진실에 눈을 뜬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한결같이 이렇게 말합니다.
   “네가 이미 부처요, 진리이며, 자유요, 모든 것이다.”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스님인 지공화상(誌公和尙)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衆生不解修道 便欲斷除煩惱
   중생불해수도 변욕단제번뇌
   煩惱本來空寂 將道更欲覓道
   번뇌본래공적 장도갱욕멱도
   一念之心卽是 何須別處尋討
   일념지심즉시 하수별처심토
 
   사람들은 도를 닦을 줄을 모르니, 곧장 번뇌를 끊어 없애고자 한다.
   번뇌는 본래 텅 비고 고요한데, 도를 가지고서 다시 도를 찾으려 하는구나.
   한 순간의 마음이 바로 이것인데, 무엇 때문에 다른 곳에서 찾으려 하는가?
 
   若言衆生異佛 迢迢與佛常疎
   약언중생이불 초초여불상소
   佛與衆生不二 自然究竟無餘
   불여중생불이 자연구경무여
 
   중생이 부처와 다르다고 말하면,
   깨달음과는 늘 까마득히 멀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면,
   저절로 남김없이 완전하리라.
 
   또 인도의 영적 스승인 라마나 마하리쉬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른바 깨달음의 상태란 뭔가 새로운 것을 얻거나 멀리 있는 어떤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가 지금 이렇게 존재하고 또 항상 존재해 왔던 그대로 그냥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대는 다만 참되지 않은 것을 참되다고 아는 그것을 그만두기만 하면 됩니다.”
 
   그리하여 마음의 이원성을 벗어나 우리 모두가 매 순간 있는 그대로 존재하게 될 때, 자기 분열이 끝이 나고 자신과의 싸움도 끝이 나고 영혼의 메마름과 목마름도 끝이 나고 방황도 끝이 나고 고통도 끝이 나고 의문도 끝이 나고 추구도 끝이 나고, 아! 사랑과 자유와 평화와 행복과 영원의 삶이 시작됩니다. 이전과는 모든 것이 다른 전혀 새로운 삶을 살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 모두의 본래의 자리인 여기,
   단 한 순간도 떠나본 적이 없는 지금 이 순간의 자리로
   필자는 오늘도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593
어제
11,215
최대
11,511
전체
3,089,707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