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언덕 (61.♡.68.58) 댓글 0건 조회 8,501회 작성일 13-11-06 19:03

본문

음악을 하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유능한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음감보다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이 유리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절대음감이란 음을 듣고 그 고유의 음높이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반대로 상대음감은 음을 듣고 그 음을 다른 것과 비교해서 음높이를 판단하는 능력을 말한다.

상대음감이든 절대음감이든 그 음높이를 아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절대음감의 음이 살아있는 음이라면 상대음감은 죽은 음이다. 소위 달을 봐야지 손가락은 왜 보느냐는 말처럼 절대음감은 달을 보는 것이라면 상대음감은 손가락을 보는 것과 같다. 그 차이는 크다. 같은 ‘솔’음이라도 살아있는 ‘솔’과 죽은 ‘솔’의 차이는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와 육지에서 냉동된 물고기와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음이란 들어야 하는 것이지만, 살아있는 음은 듣는 것이 아니라 보는 것이다. 즉, 시각과 청각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풀고 괴로움에서 구원하는 보살을 관세음보살이라고 한다. 여기서 관세음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볼’ 觀과 세상 사람의 ‘소리’라는 世音이 결합된 말이다. 다시 말하면 관세음보살은 음은 들어야 하는데 음을 듣는 것이 아니라 음을 보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관세음보살의 의미를 서비스와 연관해서 해석하면 음(音)을 보는(觀) 자만이 타인을 도울 수 있다는 말과 같다. 진정한 서비스는 고객의 살아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하고 절대서비스감각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것이 고객의 소리를 귀로 듣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볼 수 있는 경지를 말한다. 일본의 山本哲士라는 학자는 서비스란 고객의 소리(音)를 듣는(聽) 것이 아니라 고객의 얼굴(色)을 듣는(聽) 것이라고까지 주장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21건 89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121 바다海 8852 11-07-13
4120 바다海 7761 11-07-13
4119 검비 10116 11-07-13
4118 바다海 9253 11-07-13
4117 검비 13108 11-07-12
4116 流心 7498 11-07-12
4115 문득 6707 11-07-12
4114 실개천 11523 11-07-12
4113 아무개 9604 11-07-11
4112 아무개 8982 11-07-11
4111 검비 12090 11-07-10
4110 일혜 8143 11-07-09
4109 인화 8293 11-07-11
4108 검비 8755 11-07-09
4107 공자 8019 11-07-10
4106 아무개 14402 11-07-09
4105 아무개 6943 11-07-09
4104 수수 8163 11-07-09
4103 실개천 11335 11-07-09
4102 검비 14143 11-07-10
4101 아무개 6701 11-07-09
4100 공자 15780 11-07-07
4099 서정만 7706 11-07-07
4098 라임 12624 11-07-07
4097 바다海 7920 11-07-07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2,824
어제
4,364
최대
18,354
전체
7,797,448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