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좀 쉬고 싶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언덕 (61.♡.68.58) 댓글 1건 조회 7,307회 작성일 11-07-01 17:50

본문

직장 다니는 사람 입에 달고 사는 말이 ‘좀 쉬고 싶다’는 말이다. 사실 직장이라는 것이 그 자체가 하나의 목표라, 개인은 항상 그 목표에 의해서 통제되거나 억압된다. 직장인 누구나 크고 작은 불안과 긴장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 특히 경쟁이 심하면 심할수록 이런 긴장과 불안의 정도는 높아지게 되고 동시에 쉬고 싶다는 직장인의 하소연도 비례해서 높아간다.

반대로 은퇴한 사람을 만나면 이구동성으로 ‘일 좀 하고 싶다’고 한다. 그들도 얼마 전까지 입에 쉬고 싶다는 말을 달고 살았는데, 이제는 보수 없이도 일 좀 하고 싶다고 한다. 심심해서 죽겠다는 식이다. 일하고 있는 사람은 쉬고 싶다고 하고, 쉬고 있는 사람은 일 하고 싶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느 쪽이 답인가? 사실 둘 다 답일 수도 있고 둘 다 답이 아닐 수도 있다.

사람에게는 일 하면 쉬고 싶고 쉬면 일하고 싶어지는 청개구리 속성이 있다. 칙센트미하이라는 학자는 사람은 불안이 높아지면 그 불안을 해소하려고 권태의 방향으로 행동하고 권태가 높아지면 다시 불안의 방향으로 행동한다고 했다. 직장인들이 쉬고 싶다고 하는 말과 은퇴자가 보수 없이도 일하고 싶다는 말도 바로 불안에서 권태로, 권태에서 불안으로의 삶의 역동성 때문이다.

그러나 일도 쉼도 답이 아니다. 직장인이나 은퇴자 모두 행복해하지 않는 것이 그 증거다. 답은 불안과 권태를 넘어서 있다. 그것은 바로 불안과 권태의 주인이 되는 길이다. 자기가 선택했다면 일한들 쉰들 그것이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그러나 우리의 선택은 불행하게도 항상 불안과 권태사이에 있다. 불안 때문에 권태를 선택하고, 권태 때문에 불안을 선택한다. 윤회는 끝나지 않는다.

댓글목록

산하님의 댓글

산하 아이피 (211.♡.212.252) 작성일

“직장인이나 은퇴자 모두 행복해하지 않는 것이 그 증거다.”
언덕님~
행복이 삶의 목표라면 언덕님이 말씀하신 권태와 불안의 윤회는 합당하신 말씀입니다.
그러나 삶이 목표 없이 그냥 이루어지게 되면
“오는 권태 막지 않고 가는 불안 붙잡지 않게 되면”
윤회라는 단어가 필요 없게 되지요
그땐 불안과 권태의 주인이 될 필요도 없게 되지요
나에게 오는 불안과 권태를 그냥 경험함이 삶의 역동성이 아닐까요?
언덕님께 딴지 걸기 위해 쓴 댓글은 아닙니다.
그냥 제 삶을 얘기해 드렸지요
언짢아 하지 마시길......

Total 6,281건 89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081 아무개 9342 11-07-03
4080 공자 9156 11-07-02
4079 산하 6841 11-07-02
열람중 언덕 7308 11-07-01
4077 산하 7000 11-06-30
4076 둥글이 7066 11-06-30
4075 서정만 9514 11-06-30
4074 산하 6905 11-06-30
4073 지족 6607 11-06-30
4072 문득 9190 11-06-29
4071 산하 8375 11-06-29
4070 서정만 6999 11-06-29
4069 그냥- 9179 11-06-29
4068 아무개 6953 11-06-29
4067 둥글이 7133 11-06-28
4066 산하 9011 11-06-28
4065 우리 6340 11-06-27
4064 산하 7210 11-06-27
4063 바다海 7554 11-06-27
4062 화평 5869 11-06-26
4061 서정만 9149 11-06-26
4060 실개천 10754 11-06-25
4059 서정만 7544 11-06-25
4058 왕풀 6341 11-06-24
4057 말돌이 8895 11-06-2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597
어제
5,496
최대
18,354
전체
7,203,262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