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도덕경 공부] 故의 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우공이산 (221.♡.206.50) 댓글 0건 조회 16,271회 작성일 08-05-13 14:18

본문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무릇 유무는 상생하고......

故가 문두에 있을 때는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쓰이거나 아니면 허사로서 발어사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도덕경을 풀이하면서 대개의 경우 일률적으로 접속사로서만 해석하여 문장이 매꺼럽지가 않음을 느낄 수 있다.

허사라는 것이 자국민이 아니면 잘 와 닿지 않고 따라서 해석도 어렵고 애매하다.

도덕경 본문을 살펴본 결과 故가 허사로 쓰이는 일정한 패턴을 발견 할 수 있었는 데, 바로 故 ~ 是以 ~ 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발어사로 쓰일 경우에는 해석 할 필요는 없고, 굳이 어감을 살려 해석을 한다면 '무릇·대저' 등으로 풀면 될 듯하다.
즉, '무릇 ~하는 까닭에 ~한다'로 풀면 될 것이다
출처; 네이버 카페 노자 도덕경 연구모임
http://cafe.naver.com/tao8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48건 179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898 우공이산 16021 08-05-18
1897 구름에 달 가듯 6012 08-05-17
1896 구름에 달 가듯 5027 08-05-17
1895 둥글이 6638 08-05-17
1894 권보 9486 08-05-17
1893 둥글이 15225 08-05-17
1892 둥글이 15801 08-05-16
1891 권보 7582 08-05-16
1890 둥글이 6687 08-05-16
1889 무아 5363 08-05-16
1888 우공이산 9915 08-05-16
1887 구름에 달 가듯 6031 08-05-15
1886 무아 6313 08-05-15
1885 무한 8415 08-05-15
1884 우공이산 16428 08-05-14
1883 구름 5977 08-05-13
1882 그냥 5363 08-05-13
1881 사랑 5204 08-05-13
1880 하하히히 11136 08-05-13
열람중 우공이산 16272 08-05-13
1878 우공이산 5974 08-05-13
1877 하하히히 5395 08-05-13
1876 후후하하 5668 08-05-13
1875 구름에 달 가듯 5532 08-05-13
1874 지도무난 5135 08-05-12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