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순간경 < Now Sutra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미영 (59.♡.241.231) 댓글 3건 조회 7,989회 작성일 11-01-24 02:46

본문

현각이 한국을 떠난 까닭은? (김윤덕의 사람人) -
"명성 때문에 내 수행이 쇼가 됐다" 종교는 신앙 아닌 윤리로 가야…

지난달 경기도의 한 조계종 선원에 '와~' 하고 환호성이 터졌다. 푸른 눈의 외국인 승려를 향한 것이었다. 사진을 함께 찍어달라는 요청도 쏟아졌다. 무시한 채 문을 나서려던 승려가 돌아서서 버럭 소릴 지른다. 이 못생긴 미국 상놈 봐서 뭐해요? 거울에 비친 당신 자신, '참나'를 봐야지!

이틀 뒤 승려는 서울 방배동 불교TV 법회장에 나타났다. 법당을 가득 메운 사람들 사이를 성큼성큼 가로지른 승려는 높은 단상 위로 몸을 날리더니 눈 깜짝할 새 가부좌를 틀었다. 승려가 장난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말했다. 난 세상에서 이 자세가 제일 편해, 정말 좋아요.

현각(玄覺·46). 하버드대 출신의 선승(禪僧)이라 하여 세상 이목을 집중시켰고, 28세 꽃 같은 나이에 삭발하고 출가한 사연을 적은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출간, 한국 불교계에 일약 '스타'로 떠오른 승려. 동그란 금속테 안경을 쓰고 참선하는 그의 사진(김홍희 작)은 일반에도 선명히 각인되어 한국 불교의 세계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었다. 국내든 국외든 그가 여는 법회에는 수백 명의 대중이 몰렸고, 법회가 끝나면 그를 친견하려는 사람들이 꼬리를 물었다.

그랬던 현각이 돌연 한국을 떠났다. 2008년의 일이다. 명분은 '유럽 만행(萬行)'이었지만, 스님은 스승이신 숭산스님이 입적(2004년)한 날부터 한국 떠날 준비를 시작했다고 했다. 가장 큰 이유는 폭풍(perfect storm)처럼 몰아닥친 명성이었다. 수행이 아니라, 그야말로 '쇼'를 한 게 아닌가 하는 자괴감이 들었지요. 한국을 떠난 그는 유럽 만행을 거쳐 2009년 독일 뮌헨에 정착, '불이선원'이라는 선방을 개원했다.

G20 정상회의를 기념해 열린 '세계종교지도자대회' 참석차 지난달 서울에 온 스님을 만나 '만행' 이후의 이야기를 들었다. 불혹의 나이를 넘겼지만 20대 청년처럼 여전히 혈기왕성한 스님은 특유의 직설화법과 유머, 거침없는 제스처로 시원시원한 답변을 내놨다. 난처한 질문에는 '선문답'으로 응수했다.

못생긴 미국 상놈 봐서 뭐해요?

―세계종교지도자대회에서 말씀을 너무 짧게 하시더라. 모처럼 스님 말씀 들으러 온 사람들이 아쉬워했다.

선승은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 (대회에서) 프랑스에서 온 패널 한 분이 대단한 말씀을 하셨다. 종교는 신앙이 아니라 윤리로 가야 한다는 것. 맞는 말이다. 우리는 종교를 버려야 한다. 평화 대신 전쟁, 갈등과 환경만 파괴하는 종교는 이제 버려야 한다. 2010년이 되었는데 인간이 여전히 종교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하지만 스님 또한 불교에 몸담고 계시지 않나.

이건 껍질일 뿐이다. 석가모니는 불자가 아니었다. 예수도 기독교인이 아니었다. 그들이 종교를 만들라고 말하지도 않았다. 개신교의 가르침은 많은 부분 예수 이후에 생긴 것들이다. 종교가 종교다워지려면 보편적 윤리, 사랑하고 베푸는 마음을 실천해야 한다.

―신앙이 아니라 윤리로 가야 한다는 말은, 예수나 부처에 대한 신격화 혹은 숭배를 경계해야 한다는 뜻으로 들린다.

종교는 인간이 만든 형태일 뿐이다. 종교는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생활에서 실천해 나갈 때 참종교가 된다.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한 마지막 말씀은 '나의 말을 믿지 마라, 내가 말했기 때문에 믿으면 안 된다'였다. 맹목적인 믿음은 종교의 독이다.

―왜 한국을 떠나셨나.

아까 보지 않았나. 법당에서 기도하시던 분들이 연예인이 온 줄 알고 달려나오더라. 내 죄다. 애초에 내가 무슨 계획을 세워서 유명해진 것은 아니지만, 수행자로서 큰 실수를 했다고 생각한다. 어느 날 매스컴을 통해 갑자기 유명해지니 법회, 특강, 주례, 인터뷰 요청이 줄을 이었다.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 건가, 회의가 들었다.

―하버드 출신이라는 것, 외모가 출중하다는 것이 폭풍인기에 한몫했다.

그래서 창피했다. 수행자는 사람들이 자신을 비춰볼 수 있는 거울이 되어야 하는데, 나의 겉모습은 사람들에게 유혹만 주었다. 일본에 아름다운 비구니 스님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보면 사랑에 빠지고 고통스러워했다. 그러자 비구니 스님이 칼로 자신의 얼굴을 난도질했다. 내가 그 비구니처럼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다는 말은 아니니 오해 말라. 비슷한 심정이었다는 얘기다.

―떠나야겠다는 생각은 언제 처음 하셨나.

2004년 숭산 스님 열반하시던 날. 바로 떠났어야 했는데 한국 불교의 세계화라는 은사 스님의 일이 안정될 때까지 자리를 지켜야 했다.

―한국 불교계와 갈등이 있었나.

그렇지 않다.

―일부에서는 현각을 마뜩잖게 여기는 한국 스님들이 적지 않았다고 하더라.

모르겠다. 만일 그랬다면 나의 스님답지 않은 언행, 분위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법회할 때 하도 요란스럽게 하니까 주위에서 '스님이 그러시면 안 된다'고 하더라. 그래서 말했다. 나는 한국 스님 되려고 온 거 아니다. 참나를 찾으러 왔다.

―스님은 늘 한국 불교를 예찬만 하시더라. 떠나 계시니 이제 쓴소리 할 때도 되지 않았나.

가르침만 받았다. 누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뿐이다.

―그러지 마시고 한 말씀 해달라.

당신이 미국 우리 집에 와서 2~3주 살다 나가면서 저 집은 이렇더라 저렇더라 흉보면 우리 가족은 큰 상처를 받을 것이다. 정치적으로 대답할 수밖에 없다.

선(禪)불교는 재즈다

폴 뮌젠이 본명인 현각은 미국 뉴저지의 보수적인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9남매 중 일곱째였던 현각은 예일대,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과 하버드 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공부했다. 칸트, 키에르케고르, 하이데거 등 독일 철학에 심취했고 쇼펜하우어를 통해 불교를 처음 접했다. 하버드 재학시절 화계사 조실 숭산 대선사의 설법을 듣고 출가를 결심한다. '당신은 누구인가'라는 스님 물음에 할 말을 잃자, '하버드 학생이 당신 자신을 모른단 말인가?' 하며 껄껄 웃으시더라. 완전히 다른 세계, 다른 코드였다.

―'만행' 책에 보니 유달리 총명했던 아들에게 부모님 기대가 엄청났더라.

삭발하고 처음 집에 들어간 날 부모님 눈빛을 잊을 수가 없다. 그때보단 불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지만 아쉬움은 여전하시다. 어머니가 그러더라. 오바마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하는데 그 뒤로 너의 동창 몇이 서 있더구나, 하고.

―어릴 때 어떤 아이였나.

말썽꾸러기! 오늘날까지도. 난 반듯한 걸 좋아하지 않는다.

―공부는 잘하지 않았나.

음…. 누가 그림을 잘 그리듯이 난 공부를 잘했을 뿐이다. 어렵지 않았다. 내겐 '재미'와 '도전'이 중요했다. 착한 아이들은 어른들 말씀대로 살지만, 난 넘어지고 다치면서 배우는 걸 좋아했다. 남들 기대에 따라 사는 것, 예측 가능한 결과는 얼마나 재미없고 무료한가.

―정치를 하셨어도 잘했을 것 같다. 선동가 타입?

그런 말 많이 들었다. 글쎄. 정치를 했다면 나의 내면은 죽지 않았을까? 겉으로 멋져 보일지 모르지만 내 안에서 과연 행복했을까? 지금 내가 어떻게 보이나?

―즐거워 보이신다. 에너지 넘치고.

보이는 대로다. 선불교는 재즈다. 선승의 생활은 재즈와 같다. 많은 종교들이 형식과 틀, 어떤 룰을 강조하는데 선불교는 다르다. 재즈처럼 자유롭고 즉흥적인 연주를 할 수 있다. 나는 선승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행복하다.

―불교가 재즈라니?

히피로서도, 예술가로도 자유롭게 살 수는 있다. 불교의 자유는 다르다. '작은 나'를 벗어나 남을 위해 자유하는 것이 불교다. 미국에서 자유, 자유를 외치지만 기분 나쁘면 총으로 지나가는 사람을 '탕' 쏠 수 있는 자유들이 난무한다. 여기 포크가 있다. 이 포크는 나의 생각 방향에 따라 음식을 집어먹는 도구가 될 수도 있지만, 사람을 찌를 수 있는 무기도 된다. 불교가 말하는 자유는 에고(ego)를 위한 자유가 아니라 남을 위한 자유다.

―사랑하는 여인이 있었다. 결혼한다고 해서 '참선'이 불가능한 건 아니지 않나.

결혼해 아이를 낳으면 오로지 '나'를 생각하게 된다.

―지난해 유럽 가톨릭 교회들이 사제들의 '섹스 스캔들'로 비난을 받았다. 일부에서는 '신부나 수행자들의 결혼을 금하는 것이 신의 뜻을 거스르는 일인지도 모른다'는 주장도 나왔다.

나는 수도승이다. 그것이 나의 답이다.

나는 외로워지고 싶었다

외국인 승려 현각은 한국 불교의 세계화에 일익을 담당한다. 서산대사의 '선가귀감'을 법정 스님이 '깨달음의 거울'이라는 책으로 우리말로 풀이한 것을, 2006년 영문으로 번역, '미러 오브 젠(The Mirror of Zen)'이라는 책으로 미국과 유럽에 선보인 것이 대표적이다. '선가귀감(禪家龜鑑)'은 서산대사가 후학을 올바른 수행의 길로 이끌기 위해 50여 종의 경론과 조사의 어록에서 요긴한 대목을 간추려 설명한 책으로 공부 방법과 화두, 수행의 경로 등을 밝힌 선의 명저다.

―법정 스님과는 어떻게 알게 됐나.

2004년 봄, 스님이 나를 길상사로 부르셨다. '깨달음의 거울'이란 책을 주시며 영문으로 번역해달라 부탁하셨다. 고사했다. 난 학자도 아니고, 한자도 모르는 수행승이지 않나. 그런데 스님이 '네가 공부 열심히 한다는 소리 들었다, 번역할 자격이 있다' 하시더라. 서산대사가 조선시대에 쓴 책을 서양인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보수적인 직역보단 의역을 할 수밖에 없었다. 언어가 필요 없는 음악처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고 싶었다.

―법정 스님은 어떤 분으로 기억하나.

모범 수자. 한 치 흐트러짐 없는 반듯한 수행자.

―'오두막에 살면서 수행정진 하고 싶다'고 하자 법정 스님이 '자네는 살 수 없다'고 하셨다던데.

나처럼 키 크고, 코 크고, 얼굴 허연 승려가 와 있으면 이 마을 저 마을로 소문이 나니 조용히 살기 힘들 거란 뜻이었다.

―오두막에 살고 싶으셨나.

물론이다. 잠시 산으로 들어간 적이 있다. 그런데 등산객들이 얼마 지나지 않아 알아보더라. 다시 소란스러워졌다.

숭산 스님은 영웅이자 원수

―하버드의 엘리트를 한국의 절간으로 불러들인 숭산 스님은 어떤 분이었나.

가끔은 아버지였고, 가끔은 어머니였다. 코치이자 트레이너였고, 영웅이자 원수였다.

―원수라고 했나?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그런 식의 감동이 없는 사람, 드라마가 없는 사람은 스승이 아니다.

―많이 혼나셨다 보다.

책(만행) 냈을 때. 나이도 어리고 수행 경험도 짧은 제자가 자기를 빨리 과시하려는 욕심으로 보이셨을 테니. 표지에 얼굴도 나오지 않았겠나. 하지만 내겐 스승에게 털어놓을 수 없는 사연이 있었다.

―무엇인가.

그때만 해도 숭산의 사상은 한국에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 상태였다. 제자들로서는 이를 집대성할 사명이 있어서 이런저런 출판사로 타진하고 있었는데, IMF 외환위기가 터지는 바람에 모두 거절당했다. 그때 한 출판사가 내 출가기를 써주면 스승의 책도 함께 출판해주겠다고 했다. 솔깃했다. 고민 끝에 계약했고 6주일 만에 원고를 썼다. 탈고한 뒤 100일간 안거에 들어갔는데 마치고 나와 보니 난리가 났더라. 그 책 때문에 숭산 스님도 세상에 더 크게 알려졌다.

―오로지 스승의 책 때문에 '만행'을 출간했나?

나는 한국인이 자신들에게 얼마나 아름다운 전통과 철학이 있는지 일깨워주고 싶었다. 1990년대 초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자기의 좋은 전통을 버리고 미국 사람들 사는 대로, 입고 먹는 대로 쫓아가는 한국인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서양 세계는 동양의 정신과 철학을 배우려고 안달인데. 내가 대학 다닐 때만 해도 불교 서적을 읽는 것은 피어싱과 함께 젊은 세대들의 최신 트렌드였다. 당신이 구식이라고 버린 이 스카프를 다른 사람들이 주워 '정말 멋지고 아름답다'고 열광하면, 버린 스카프를 다시 갖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겠나? 내 책이 그런 역할 해주기를 바랐다.

―그런데 요즘 '만행' 책을 구할 수가 없더라.

절판시켰다. 책 때문에 겪은 고통이 컸다. 일반인, 심지어 도반들로부터도 돈 많이 벌었겠다는 질문이 나오더라. 책을 내니 '아침마당'에도 나가야 하고, 라디오도 나가야 하고 특강도 해야 하고. 연예인도 아닌데 말이다. 나는 수행자로 살고 싶었다.

―'만행'이 수십만부 팔렸다. 인세는 어디에 쓰셨나.

책의 마지막 장에 쓴 대로 한국 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숭산 스님의 큰 뜻을 이루는 데 기부했다.

―숭산 스님 돌아가실 때 마지막으로 주신 말씀은 무엇인가.

걱정하지 마라, 걱정하지 마라. 산은 항상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왔다 가는 길이 아니요, 있었다 사라지는 길이 아니다. 자연 그대로일 뿐.

제일 좋아하는 불경은 '순간경'

―독일선방 얘기를 들려달라. 왜 뮌헨에 정착하셨나.

유럽을 만행하면서 수행 정진할 자리를 찾던 차에 독일 불자들을 만났다. 수행 정진을 도와달라고 하여 뮌헨에 머무르게 됐다.

―한국 사찰의 모습은 아닐 텐데.

작은 주택을 빌려 선방을 꾸몄다. 일반 수행자가 40명 정도. 절반은 한국 교포들이다.

―선방 이름이 '불이선원'이다.

불이(不二)는 불교의 기본 사상이다. 당신과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 인간의 본성은 하나라는 얘기다. 침, 오줌, 비, 눈, 눈물…. 모양과 색깔, 냄새는 다르지만 모두 H₂O다. 둘이 아니다. 사람의 생각으로 둘을 만들어서 너는 틀리고 내가 옳다고 싸우는 거다. 한국의 젊은 개신교 신도들이 주도한 '봉은사 땅 밟기 사건'은 거기서 비롯됐다.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자살·폭탄테러도 마찬가지다. 둘이었다가 하나가 된 독일과 여전히 둘로 나뉜 한국은 그래서 내게 각별하다. 분단이 지속될수록 배타성, 이질감만 커진다. 불교가 남북이 평화적으로 통일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이 심심하진 않나. 한국처럼 다이내믹한 사회에서 살다 가셨으니.

거제도에서 기암절벽을 구경하는데 배 안에 '뽕짝'이 쿵작쿵작 울려 퍼지더라. 선장에게 소리 좀 줄여달라 부탁했더니 뽕짝을 안 틀면 승객들이 심심해한다고 했다. 한국이 내게 준 가르침 중 하나가 센세이션과 자극이다. 거기에 너무 익숙해져서 고요와 평화, 여백을 즐길 줄 모른다. 카페에 가보라. 연인이 나란히 앉아 스마트폰만 열심히 문질러대고 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을 중얼거리며 108배를 하는데 주머니에선 휴대폰이 쩌렁쩌렁 울려댄다. 걱정스럽다.

―한국에서 수행하던 때보다 힘든 일 많으실 것 같다.

도반들, 한국 스님들이 많이 도와주시지만 경제적으로 힘든 건 사실이다. 식당 접시닦이라도 해야 할 것 같다.

―많은 신도들이 수발해주시던 한국 생활이 그립지는 않나.

그립지 않다.

―불교TV 법회 때 보니, 법문이 끝난 뒤 많은 신도들이 스님과 친견하려고 줄을 섰더라. 한국에 오면 그 인기를 어느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건가.

유명해지는 것은 나의 계획도, 야망도 아니었다. 그것은 폭풍처럼 찾아왔다. 나는 그 유명세를 다른 사람들을 돕는 최선의 방식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했다. 결국 명성은 또 다른 짐이자 고통이란 걸 알았다. 외로워지기 위해 유럽으로 갔다. 내가 거기에서 또다시 유명해진다면 나는 또 다른 곳으로 떠날 것이다. 선불교의 위대한 스승인 경허 스님도 자신이 유명해지자 자취를 감추었다. 몇년 뒤 그는 작은 시골 서당에서 아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고 있었다. 평상복에 긴 머리, 긴 수염을 하고서. 나도 언젠가 그런 모습으로 살게 되지 않을까 상상한다.

―가끔 수행하기 싫을 때 있지 않나? 세상에 재미난 일이 많은데.

진짜 그런가? 세속의 재미는 나타났다 사라진다. 권태에 빠져들기 쉽다. 수행자가 되기 전 내 삶은 항상 무언가를 좇는 삶이었다. 돈, 명예, 권력, 사랑…. 사람들은 달콤한 속세의 것들을 어떻게 버릴 수 있었느냐 묻지만 그건 꿀이 아니라 독이었다. 승려의 길은 내 인생 최고의 선택이었다. 운이 좋았다.

―출가하신 지 20년이 되어간다. '참나'를 찾았는가.

지금 마시는 이 커피의 향이 참 좋지 않은가.

―스님의 금강경 강의를 기억하는 불자들이 많더라. 제일 좋아하시는 경은 무엇인가.

순간경! 이 커피향을 맡는 순간, 재즈를 듣는 순간, 걷고 이야기하고 시장에 가는 모든 순간, 뺨에 스치는 바람을 느끼고, 친구와 악수를 하면서 감촉을 나누는 순간, 순간, 순간….

현각은

1964년 미국 뉴저지의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예일대학에서 철학과 문학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과 하버드 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공부했다. 하버드대학원 재학 중 화계사 조실 숭산 대선사의 설법을 듣고 출가해 1992년 한국으로 건너왔다. 미국의 한국 선불교 본부 격인 참선 전문사찰 홍법원의 주지를 지냈고, 숭산의 설법집 ‘선의 나침반(The Compass of Zen)’과 ‘세계일화(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을 영어로 번역했다. 97년엔 출가 사연을 적은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출간해 대중에게 이름을 널리 알렸고, 2006년에는 서산대사의 ‘선가귀감’을 영어로 번역했다. 2009년부터 독일 뮌헨에 거주하며 ‘불이선원’을 열고 있다.
<조선일보 2010 - 12 -11 >

댓글목록

ahffk님의 댓글

ahffk 아이피 (112.♡.175.235) 작성일

한마음선원에서  주최한 세계종교지도자 대회에 현각스님이 오셨죠~
그자리에서 현각스님이 하신말씀입니다.
저는좀 전에 진행자께서 말씀해주신 보편적가치의 실천문제...
특별히 신학에서 윤리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사실 충격을 받았습니다.
종교는 좀더 윤리적인 면으로 접근하자는것 .
종교에서 이념의 강조보다 실천을해야한다는 말씀입니다.
지금 제가 소개하고저 하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이야기가 보편적가치의 실천을 잘 대변해 줄수 있을것 같습니다.
미국영화배우 케서린헵번을 취재하기위해 기자가 찻아가 질문을 했지만~
그녀는아무런 대꾸도 없이 별장앞 모래밭에 있는 조개들을 하나씩 집어서 바다로 던져주기 시작했습니다.
그녀가 아무런말도 없이 계속 조개를 던지기만 하자 화가난 기자는 뭐하는거냐고 물었습니다.
캐서린 헵번은 조개를 도우는 중이라고 했습니다.
기자가 말하길 조개가 이렇게 많은데 몃개 던진다고 뭐가 달라지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녀는 답했습니다.
내가던진 그조개에게는 세상이 달라지겠죠'

그날 한마음선원에 오신 현각스님은 예전처럼 더좋은 말씀을 해주시길 많은사람들이 좀기대했는데 이말씀이 다였습니다.
저도 예전처럼 활기찬 말씀을 기대하였는데..
그렇지만 예전보다 더 내면의 무게가 더느껴지는것 같았습니다.

ㅡ출가한지 20년이 되어 간다.참나를 찻았는가?
 기자의 질문에 참으로 선승다운 말씀을 하셨다는 느낌이 들니다.
지금 마시는 이커피의 향이 참 좋지 않은가~

김미영님의 댓글

김미영 아이피 (59.♡.241.204) 작성일

그렇군요...한마음 선원이었구나,,,아무래도 현각스님이 한국에서 잊혀지기를 기다리는것 같아욤,,<만행>에서도 말했었지만 수행중에 한국인이었던 전생을 보았다고 했을만큼 한국에 대한 애정이 각별한데....경허스님 처럼 몇년후에 한국으로 돌아와 외딴 지방 어디선가 조용히  한국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진 않을까요? ㅋㅋ

ahffk님의 댓글

ahffk 아이피 (112.♡.175.235) 작성일

글쎄요..알수없지요~^^
현각스님의 자유의지가 어떻게 작용할지는...
현각스님이 어디에 계시던 늘 마음의 근본자리에서 하는 함이 없는 행하는 자유로운 여생을 사셨슴 합니다.

Total 6,239건 111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489 Lala 6111 11-02-13
3488 데끼 7049 11-02-13
3487 바다海 5805 11-02-12
3486 원주노자 5384 11-02-11
3485 김경태 6323 11-02-11
3484 바다海 6174 11-02-08
3483 vira 6336 11-02-07
3482 바다海 8510 11-02-05
3481 데끼 6184 11-02-05
3480 바다海 5477 11-02-04
3479 실재 13376 11-02-03
3478 수수 8757 11-02-03
3477 목소리(관찰자) 8327 11-02-02
3476 데끼 6846 11-01-30
3475 바다海 6168 11-01-30
3474 바다海 8494 11-01-27
3473 데끼 6529 11-01-27
3472 일호 12900 11-01-25
3471 수수 8127 11-01-25
열람중 김미영 7990 11-01-24
3469 아리랑 7836 11-01-23
3468 바다海 12199 11-01-19
3467 바다海 6043 11-01-19
3466 바다海 12882 11-01-17
3465 김미영 7421 11-01-17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9,261
어제
13,988
최대
18,354
전체
5,915,010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