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응답

본문 바로가기

질의응답

아직은 그 차이를 잘 모를 것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기태 댓글 0건 조회 6,344회 작성일 08-01-09 14:06

본문

수행하기 전과 후의 차이가 무엇인지...

背景 08-01-04 21:53


수행이라는 걸 하기 전에는 말 그대로 있는 그대로 살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수행이라는 걸 시작한 후부터 생각이 많이 떠오르면 정죄하고 무념무상으로 만들려고 하고 모든 마음들을 항상 자각하고 분별해내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있는 그대로에 맡기는 것이 진정한 수행이구나 싶어서 그러고 있는데, 생각이 많이 떠올라도 있는 그대로에(많은 생각이나 공상) 맡겨야겠구나 싶었습니다. 맞죠?

그런데 수행을 시작하기 전의 저 자신과 한바퀴 뺑 돌아서 다시 있는 그대로에 맡기기 시작한 지금의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가령 어린아이는 전일하게 현재를 산다는 글을 보았는데 그렇다고 해도 어린아이와 깨달은 각자와는 차이가 있지 않습니까? 어린아이는 우주와의 일체감이라든지(선생님께서는 소주잔 속에 우주가 들어있는 게 아닌가? 라고 말씀하셨고) 하는 것이 없는 듯하고, 그리고 자라나면서 점점 미혹에 빠지게 되곤 하지요. 그런데 깨달은 이는 다시 미혹에 빠지지 않는다고 하고요.

* * *

아직은 그 차이를 잘 모를 것입니다.

님은 수행이라는 걸 시작하면서 하나의 ‘목표’를 두고 거기에 도달하거나 그것을 얻기 위해 자신의 마음들을 ‘조작’해 오다가, 어느 순간 ‘있는 그대로에 맡기는 것이 진정한 수행이구나’ 싶어 이제 마악 그러기를 시작했으니까요.

그러다가 어느 순간 ‘맡긴다’라는 것도 떨어져나가게 되면 그때서야 비로소 ‘맡기려는 자’와 ‘맡기려는 대상’이 온전히 하나가 되어, 매 순간의 ‘지금’에 존재하게 됩니다. 이를 이름하여 ‘깨달음’이라고 하기도 하고, ‘평화’라고 하기도 하지요.


그런 의미에서 보면,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는 언제나 ‘지금’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는 이미 ‘목표’에 도달해 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아무리 봐도 ‘지금’은 아닌 것 같고, 그래서 목표는 언제나 ‘미래’에 어떤 특정한 모습으로 자리를 잡게 됩니다. 바로 그것이 미망(迷妄) 혹은 착각이라고 하는 것인데, 그런데 더욱 안타깝고도 아이러니한 것은 그 미망 혹은 착각을 따라 우리는 언제나 ‘지금’을 버리고 ‘미래’로 가려고만 한다는 것입니다.


아뇨, 제대로 눈을 떠보면 맨 처음의 그 자리가 곧 ‘그 자리’였음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나, 또한 변하지 않은 것도 아무것도 없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960건 67 페이지
질의응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640 김기태 6354 10-12-12
639 구름에 달 가듯 6354 06-12-17
638 김기태 6353 09-08-25
637 마녀 6353 08-10-08
636 수행 6350 07-12-27
635 김기태 6348 08-04-25
634 Let it be 6348 06-12-24
633 은파 6346 08-05-06
열람중 김기태 6345 08-01-09
631 김기태 6343 08-05-07
630 대원 6341 08-06-06
629 명현 6341 07-05-14
628 주소광 6340 07-08-16
627 6339 08-03-09
626 무명남 6338 08-03-01
625 오쇼 6338 08-01-09
624 핵심 6337 08-01-09
623 김기태 6337 07-05-29
622 별바라기 6335 15-02-03
621 ????? 6334 12-02-26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4,319
어제
15,721
최대
16,082
전체
3,948,217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