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응답

본문 바로가기

질의응답

김기태선생님의 답변에 대하여 재문의 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삿갓 댓글 0건 조회 7,013회 작성일 06-05-24 11:29

본문

( 그런데 이때, "정지하라", "그쳐라"라고 하더라도 이미 오랫동안 허망한 '완전'을 향하여, '깨달음'을 향하여 끊임없이 취사(取捨)하며 나아가는 것이 뿌리깊은 습관이 되어있기 때문에 그것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그때마다 '미래'가 아니라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에 멈추고[止] 머무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왜냐하면, 우리가 그토록 '수행'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완전'과 '깨달음'은 미래가 아니라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 속에 이미 있기 때문입니다. )
.....................................................................................................................................................
위의 김선생님의 말씀을 보면
'완전과 깨달음'은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 속에 이미 있는데
왜 다시
뿌리깊은 습관이 되어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에 멈추고 머무려는 노력이 필요한지요?
즉 불교 용어중
모두가 이미 부처인데 왜 無明이 생기게 되는가요?
이미 완전히 있다면 김선생님의 좋으신 말씀도 쓸데없는 이야기가 되고(막 그냥 살면되니까^^)
(막 그냥 살게되면 극단적인 표현으로 살인을 하던 어떻게 살던 내 맘인데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뿌리깊은 습관 때문에 노력이 필요하다면 '그냥 온전히 머물고만' 있으라고 말할 필요조차 없지 않는가요 ?
즉 무명은 본래 환이며 착각이며 모두가 부처라고 하지만 또한 중생도 있는 소이가 무엇입니까 ?
김선생님의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960건 49 페이지
질의응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000 동네 아저씨 7033 08-01-20
999 코스모스 7030 11-10-15
998 이별은지구 7030 13-11-20
997 無心 7029 10-12-10
996 답답이 7028 06-04-22
995 김기태 7025 07-08-21
994 pjh 7021 09-03-04
993 새벽 7020 22-09-18
992 김기태 7019 09-05-06
991 왜사는가 7017 14-12-17
990 방문객 7016 06-04-16
열람중 김삿갓 7014 06-05-24
988 원숙희 7014 06-04-10
987 entrust 7013 11-01-22
986 표정 7013 07-07-03
985 맛스타요다 7012 08-11-28
984 사랑이 7007 14-01-07
983 김기태 7006 06-11-29
982 영생 7004 06-11-24
981 하심 7000 10-03-05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2,177
어제
14,932
최대
15,794
전체
3,725,711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