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응답

본문 바로가기

질의응답

김기태선생님의 답변에 대하여 재문의 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삿갓 댓글 0건 조회 7,070회 작성일 06-05-24 11:29

본문

( 그런데 이때, "정지하라", "그쳐라"라고 하더라도 이미 오랫동안 허망한 '완전'을 향하여, '깨달음'을 향하여 끊임없이 취사(取捨)하며 나아가는 것이 뿌리깊은 습관이 되어있기 때문에 그것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그때마다 '미래'가 아니라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에 멈추고[止] 머무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왜냐하면, 우리가 그토록 '수행'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완전'과 '깨달음'은 미래가 아니라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 속에 이미 있기 때문입니다. )
.....................................................................................................................................................
위의 김선생님의 말씀을 보면
'완전과 깨달음'은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 속에 이미 있는데
왜 다시
뿌리깊은 습관이 되어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것'에 멈추고 머무려는 노력이 필요한지요?
즉 불교 용어중
모두가 이미 부처인데 왜 無明이 생기게 되는가요?
이미 완전히 있다면 김선생님의 좋으신 말씀도 쓸데없는 이야기가 되고(막 그냥 살면되니까^^)
(막 그냥 살게되면 극단적인 표현으로 살인을 하던 어떻게 살던 내 맘인데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뿌리깊은 습관 때문에 노력이 필요하다면 '그냥 온전히 머물고만' 있으라고 말할 필요조차 없지 않는가요 ?
즉 무명은 본래 환이며 착각이며 모두가 부처라고 하지만 또한 중생도 있는 소이가 무엇입니까 ?
김선생님의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960건 4 페이지
질의응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900 김기태 8171 06-05-28
1899 김기태 7727 06-05-28
1898 김기태 7658 06-05-28
1897 입처개진 8094 06-05-28
1896 헬로우 7156 06-05-28
1895 김기태 7983 06-05-29
1894 미소 7690 06-05-29
1893 입처개진 7798 06-05-29
1892 김기태 8595 06-05-29
1891 무지 7624 06-06-01
1890 고선생 8106 06-06-07
1889 영선 7557 06-06-07
1888 김기태 8250 06-06-08
1887 ?? 8287 06-06-20
1886 김기태 8127 06-06-21
1885 ?? 9766 06-06-22
1884 김기태 8242 06-06-22
1883 ?? 7829 06-06-22
1882 ?? 8220 06-06-22
1881 헬로우 7435 06-06-22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5,111
어제
15,373
최대
15,794
전체
3,879,619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