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응답

본문 바로가기

질의응답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진현욱 댓글 2건 조회 8,183회 작성일 06-06-28 21:26

본문

안녕하세요~
진정한 삶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청년입니다.
제가 도덕경을 도올 선생님의 강의를 통해 알게되었습니다.
그분의 강의는 저의 삶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저는 그 분의 말씀이 저에게 좋은 지혜로써 활용된다고 생각되고 또한 그런 점 때문에 의문이 생기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첫 구절에 경우 그 분이 말씀하시길,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것은 늘 그러한 도가 아니다. 이름을 이름 지으면 그것은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 -
라고 말씀하셨는데 이 해석엔 많은 사람들이 비판을 제기하더군요.
'노자를 웃긴 남자' 이경숙씨 경우엔 이렇게 해석을 합니다.
-도(는 그 이름을)를 도라고 해도 좋겠지만 (그 이름이)꼭(항상)도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어떤)이름으로(어떤 것의)이름을 삼을 수는 있지만 꼭(항상) 그 이름이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
아직 도덕경에 대해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분들의 해석의 차이는 알 수 있습니다. 첫 구절이 이렇게나 차이가 나는데 과연 어느 분들의 말씀이 노자의 뜻과 부합되는 건가요?

댓글목록

또랑가님의 댓글

또랑가 작성일

도올은 학자 입니다.

노자는 학자가 아닙니다.

고로 도올은 노자를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거두절미 하고 말씀드립니다.

이경숙님이 잘 풀어 놓으셨네요.

여기 김기태 선생님도 비슷한 풀이라고 보여 집니다.

문자풀이에 급급한 학자들의 머리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의 관점이나 자신만의 공감대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또 그래야 먹고 살거든요.하하하

자유는 커녕 더욱 어렵게 꼬아놔서 사람들을 헤깔리게만 합니다.

어쩌다 도올의 강의를 티비를 통해 보게 되는데요.
기싸대기 한 대 생각나게 합디다.ㅎㅎㅎㅎ

여기 김기태 선생님 글을 보면 아주 쉽고 간결하게 자알 풀어 놓으셨네요.

글만 보지 마시고 글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자신'에게 비춰 보시면 스스로 알게 되리라 믿습니다.

진현욱님의 댓글

진현욱 작성일

답변 감사합니다. ~

Total 1,960건 26 페이지
질의응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60 왜사는가 7977 14-12-17
1459 김기태 7976 08-11-04
1458 김기태 7974 06-08-04
1457 자양 7974 12-10-17
1456 이대로 7974 15-12-12
1455 7972 14-02-11
1454 이정희 7970 11-10-27
1453 김기태 7969 06-07-28
1452 개무아 7968 12-04-07
1451 파동시 7967 06-08-08
1450 김기태 7965 07-04-12
1449 열한시 7960 11-08-15
1448 바람 7958 13-05-01
1447 김기태 7954 06-10-11
1446 김기태 7952 10-01-31
1445 촌철 7949 08-07-23
1444 무석 7949 14-10-22
1443 내탓이다 7948 15-04-29
1442 박재 7948 15-09-16
1441 김기태 7947 07-05-18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260
어제
15,721
최대
16,082
전체
3,944,158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